검색 결과

(이전 20개 | ) (20 | 50 | 100 | 250 | 500) 보기
  • 세한의불도희작 청한 대만화화상만임향장(代萬化和尙挽林鄕長) 자락(自樂) 견월(見月) 월방중(月方中) 월욕생(月欲生) 월초생(月初生) 사향(鄕) 죽음 (1924년) 후해 (1936년, 미완) 철혈미인 (1937년, 미완) 박명 (1938년) 조선 청년에게 조선 독립의 서 공약...
    2 KB (105 단어) - 2022년 1월 13일 (목) 10:46
  • 卷七十六 列傳第六: 耶律解里 耶律拔里得 耶律朔古 耶律魯不古 趙延壽 高模翰 趙溫 耶律漚里 張礪 卷七十七 列傳第七: 耶律屋質 耶律吼 耶律安摶 耶律洼 耶律頹昱 耶律撻烈 卷七十八 列傳第八: 耶律夷臘葛 蕭海璃 蕭護溫 蕭繼先 卷七十九 列傳第九: 室昉 耶律賢適 女里 郭襲 耶律阿沒里...
    7 KB (1,597 단어) - 2023년 5월 20일 (토) 05:41
  • 而無所忌憚也。” 傳曰: “反覆之, 猶不知其愼之非也。” 又書啓曰: 今承上敎, 反覆之, 愼之奸辨之不難。 愼居宰輔二十餘年, 不露情狀, 當殿下迎訪之時, 乃以成宗御書之意, (綣)〔繾〕綣書啓。 及聞殿下臺諫無禮之敎, 愼亦以爲無禮不敬; 聞殿下臺諫務勝之敎, 則愼迎合, 亦以爲必勝而後已;...
    833 KB (171,220 단어) - 2022년 5월 14일 (토) 01:17
  • 。未有不悽然而感者矣。故交莫貴乎相知。樂莫極乎相感。狷者解其慍。忮者平其怨。莫疾乎泣。吾與人交。未甞不欲泣。泣而淚不下。故行于國中三十有一年矣。未有友焉。闒拖曰。然則忠而處交。義而得友。何如。德弘唾面而罵之曰。鄙鄙哉。爾之言之也。此亦言乎哉。汝聽之。夫貧者多所望。故慕義無竆。何則。視天莫莫。猶...
    63 KB (12,394 단어) - 2022년 4월 30일 (토) 22:25
  • 가사체이다. 정극인은 경기체가도 지었으나 특히 그의 작품으로 후대에 발간된 <상춘곡>은 송강(松江) 정철의 <관동별곡>·<사미인곡(美人曲)>·<속미인곡(續美人曲)>과 아울러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. 이제까지 분장식 가사체와 경기체가 연시조체(連詩調體)가...
    17 KB (2,022 단어) - 2024년 2월 4일 (일) 23:56
  • 乃藏理佛 所謂三藏 乃其地也 班禪額尒德尼 番語猶云光明神智法僧 自言其前身巴八 其言多誕恠不經 然道術高明 時有徵驗云 葢巴八者 土波女子曉出汲 見尺帕浮水 携取爲佩 久之漸化爲凝脂有異香 食而甘美 遂有人道之感 生巴八 生卽神聖 元世祖在沙漠 聞其幼能誦楞伽諸經至萬卷 遣使迎之 慧旨圓朗 法身全香...
    20 KB (5,135 단어) - 2017년 10월 7일 (토) 11:47
  • 노흑(林深路黑)하니 회옹(晦翁) 운곡(雲谷) 아닌게오. 천감 토비(泉甘土肥)하니 이원(李愿) 반곡(盤谷) 아닌게오. 배회 사억(徘徊憶)호대 아모 댄 줄 내 몰내라 … " 조선 광해군 때 박인로가 지은 가사. 언젠가 친구인 이덕형이 노계의 빈한한 생활을 물었을 때 그것에...
    19 KB (2,153 단어) - 2024년 2월 4일 (일) 23:56
  • ←분류:저자 ㅎ ←분류:일제 강점기의 저자 홍사용 洪容 (1900년 ~ 1947년)...
    2 KB (121 단어) - 2023년 12월 2일 (토) 15:05
  • ○乙時, 襲。 百官入臨, 仁政殿庭, 遂擧哀。 ○襲畢將奠, 而諸事未完, 世子先出于外以待。 右議政愼承善請還入內待事辦而出, 世子不許。 左議政盧愼啓: “人君之事, 異於匹夫, 請入內。” 從之。 ○禮曹判書成俔啓: “先朝舊例, 國恤七七日及大小祥, 皆設齋于佛寺。 然此不載禮文, 而大行大王...
    31 KB (5,918 단어) - 2022년 5월 14일 (토) 01:17
  • 발해고(渤海考) 사도몽 고녹사 고울림 고숙원 사도선 고규선(史都蒙 高祿 高鬱琳 高淑源 史道仙 高珪宣) 저자: 류득공 史都蒙 高祿 高鬱琳 高淑源 史道仙 高珪宣 都蒙官獻可大夫司賓少令開國男 祿大判官 鬱琳少判官 淑源判官 導線大錄事 珪宣少錄事 文王時率一百八十七人 同使日本 赴王妃喪...
    2 KB (292 단어) - 2020년 6월 17일 (수) 21:33
  • 濊族 ) 은 `와지'라 불렀으므로 지나인들은 예어를 번역하여 옥저라고 한 것이다. 두만강 이북을 북갈사 ( 北曷 ) 라 일컫고, 이남을 남갈사 ( 南曷 ) 라 일컬었는데, 북갈사는 곧 북옥저 ( 北沃沮 ) 요, 남갈사는 곧 남옥저 ( 南沃沮 ) 이니 지금의 함경도는...
    40 KB (4,610 단어) - 2016년 8월 31일 (수) 10:54
  • ᄇᆡ떠라ᄇᆡ떠라 밤믈은거의디고낟믈이미러온다 至지匊국忩총至지匊국忩총於어ᄉᆞ卧와 江강村촌온갓고지먼빗치더옥됴타 날이덥도다믈우희고기떧다 닫드러라닫드러라 ᄀᆞᆯ며기둘식세식오락가락ᄒᆞᄂᆞ고야 至지匊국忩총至지匊국忩총於어ᄉᆞ卧와 낫대ᄂᆞᆫ쥐여잇다濁탁酒쥬ᄉᅠ甁병시럿ᄂᆞ냐 東동風풍이건듣부니믉결이고이닌다...
    18 KB (1,768 단어) - 2014년 12월 14일 (일) 23:17
  • 欲騁吾力。而畏虎豹且止。乙曰。吾見衆峯排螺。靑壁削鐵。飛走凌高。橫峯側嶺。搜討靡遺。峯愈多而愈峻。脚力隨以疲薾。甫及山腰而日已沒。吾亦假息巖下。雲霧瞑晦。咫尺不辨。衣屨冷濕。上山家則尙遙。下山足則亦遠。姑安於此而不達矣。甲曰。吾...
    2 KB (508 단어) - 2016년 9월 22일 (목) 02:34
  • 藥房入對。 ○丙辰/上御賢閤, 藥房三提調持湯劑入診。 上曰: “臺臣雖體重, 而猶不若論之職。 前政中儒臣之移拜臺職者, 還擬玉堂可也。” ○王世子坐景春殿, 藥房入對。 ○丁巳/上御賢閤, 藥房三提調持湯劑入診, 命承旨, 呼寫問答。 ○王世子坐景春殿, 藥房入對。 ○戊午/上御賢閤, 藥房三提調持湯劑入診。...
    283 KB (44,320 단어) - 2022년 5월 14일 (토) 02:13
  • 사미인곡(美人曲) 저자: 정철 속미인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 저작물은 저자가 사망한 지 100년이 지났으므로 전 세계적으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. 단, 나중에 출판된 판본이나 원본을 다른 언어로 옮긴 번역물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저작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.  ...
    10 KB (40 단어) - 2023년 12월 10일 (일) 21:11
  • (ᄇᆡᆨ)애一 (일)言 (언) 以 (이)蔽 (폐)之 (지)ᄒᆞ니曰 (왈) (ᄉᆞ)無 (무)邪 (샤)ㅣ니라 子 (ᄌᆞ)ㅣᄀᆞᆯᄋᆞ샤ᄃᆡ詩ㅣ三 (삼)百 (ᄇᆡᆨ)애ᄒᆞᆫ말이ᄡᅥ必 (폐)ᄒᆞ야시니ᄀᆞᆯ온 (ᄉᆞ)ㅣ邪 (샤)업ᄉᆞᆷ이니라 ○子 (ㅈ)ㅣ曰 (왈)道 (도)之 (지)以...
    351 바이트 (2,527 단어) - 2020년 2월 5일 (수) 16:10
  • 영남(嶺南)의 진주(晉州)는 자라난 내 고향(故鄕) 부모(父母)없는 고향(故鄕)이라우. 오늘은 하루밤 단잠의 팔벼개 내일(來日)은 상사(想)의 거문고 벼개라. 첫닭아 꼬꾸요 목놓지 말아라 품 속에 있던 님 길차비 차릴라. 두루두로 살펴도 금강(金剛) 단발령(斷髮令) 고개길도...
    1 KB (215 단어) - 2019년 10월 28일 (월) 01:33
  • 殿下今以愼爲周公, 一從其言, 以至於此, 未識殿下尙未知愼之爲人乎, 而至以周公比之乎? 前日殿下以言事忤旨, 逮臺諫于獄, 以問大臣, 愼曰: “此明主之英斷也。” 其時在廷之臣皆以愼逢迎, 失大臣體。 愼聞而更啓曰: “將喜賀之不暇奚暇, 救乎?” 其時, 臺諫、侍從皆以愼之啓爲亡國之言...
    795 KB (163,897 단어) - 2022년 5월 14일 (토) 01:17
  • 중용(中庸) 저자: 자사(子) 01-01 天命之謂性, 率性之謂道, 修道之謂敎. 하늘이 명한 것을 성(性)이라 하고, 성에 따르는 것을 도(道)라 하고, 도를 닦는 것을 교(敎)라 한다. 01-02 道也者, 不可須臾離也; 可離, 非道也. 도라는 것은 잠시도 떠날 수 없는...
    50 KB (164 단어) - 2020년 6월 29일 (월) 09:45
  • 而敢以孝名之乎? 不從。 ○壬午/白氣亘天。 ○臺諫論功臣濫加及尹氏廟號不宜稱孝, 不從。 仍書啓曰: 尹氏之廟, 今稱孝, 臣等以謂不可。 王者之孝, 善繼人之志, 善述人之事, 成宗遺敎昭如日星。 殿下追慕立祀, 情已極矣。 何必加二字, 然後謂之孝乎? 且字逼於永, 而孝字則尤重。...
    890 KB (177,093 단어) - 2022년 5월 14일 (토) 01:17
(이전 20개 | ) (20 | 50 | 100 | 250 | 500) 보기